목록깃 (3)
JOYLOG
비전공자도 이해하는 Git & GitHub 활용법 | 1. VsCode 및 Git 설치하기 + Git을 사용하는 이유 0. 깃을 사용하는 이유 깃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있어 유용한 협업 도구에요! 하나의 프로젝트에 여러 개발자가 있을 때 개발자 각각 자신만의 브랜치에서 코드를 작성하게 됩니다. 이는 충�� zzuzu.tistory.com 비전공자도 이해하는 Git & GitHub 활용법 | 2. git clone과 git remote -v 먼저 깃을 할 (협업할) 레퍼지토리에 들어가거나 새로 생성해준다 이것이 우리가 협업할 프로젝트라고 해보자. 먼저 이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에 가져와야한다 오른쪽 상단 초록버튼 Code를 누르� zzuzu.tistory.com 저번 게시물에서 수정할 프로젝트를 git c..
먼저 깃을 할 (협업할) 레퍼지토리에 들어가거나 새로 생성해준다 이것이 우리가 협업할 프로젝트라고 해보자. 먼저 이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에 가져와야한다 오른쪽 상단 초록버튼 Code를 누르고 링크를 복붙한다. 이제 Vscode를 킨다 먼저 프로젝트를 받아올 경로를 지정해야한다 우리는 cd를 통해 현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! 난 desktop/paractice 안에 프로젝트를 만들 것이다. git clone 복사한링크 를 작성하면 practice 안에 내가 만든 레포지토리가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럼 다시 cd를 이용하여 레포지토리 안에 들어가서 git remote -v 를 하여 현재 어느 주소에 우리가 있는지 확인해보자 아주 잘 연결되었다. 이제부터 실질적으로 깃을 통해 협업을 해볼 것이다. 다음..
최근에 깃허브를 들락날락 하던 중 아는 분의 깃허브에 자기소개가 쓰여져 있는 것을 보았다. readme.md를 자신의 입맛대로 꾸민 것이여서 나도 한 번 공부해보았다. readme.md는 MARK DOWN (마크 다운) 을 사용하여 꾸민다 :) 현재 나의 깃허브는 이렇게 꾸며져 있다 :) https://github.com/chajuhui123 VISIT 은 내 깃허브에 몇명의 사람이 들어왔는지 볼 수 있고! GMAIL 버튼을 누르면 나의 쥐메일 계정으로 이메일을 보낼 수 있다. 먼저 나의 깃허브 계정에 reame.md를 보이게 하려면 새로운 repository를 생성해야한다. 레퍼지토리는 꼭 계정 아이디와 같은 이름으로 생성한다! 그러면 귀여운 깃허브 고양이가 스페셜한 레퍼지토리를 찾았다고 한다 🙀 그리..